소개)
주의 : 부옵 수치 공략은 게임사에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아서 유저들의 경험적 표본으로 작성한 것이 많습니다. 따라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에픽세븐의 장비는 6가지의 종류가 있고 레벨과 등급, 세트가 있습니다.
종류가 많고 등급과 레벨이 따로 있으며 세트효과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장비가 어떻게 좋은건지 단박에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.
이 공략으로 그 궁금증이 해소되기를 바랍니다.
(아티팩트는 따로 다룰 생각입니다.)
-장비학개론
1. 레벨과 티어
레벨은 장비의 주옵과 부옵 추가량에 영향을 미칩니다. 위의 레벨은 하나의 티어로 묶여 같은 주업/부옵 증가량 수치를 가진다고 보시면 됩니다.
레벨이 높을수록 더 좋은 장비고, 그 레벨에 대해서 등급으로 또 세분화 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
등급에 따라 일반 0개, 고급 1개, 희귀 2개, 영웅 3개, 전설 4개의 부옵이 초기에 붙어있으며, 이들은 장비의 배경색으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.
아무리 레벨이 높아도 장비가 일반이나 고급이라면 부옵이 지나치게 나쁠 수 밖에 없기 떄문에 강화는 되도록 영웅 이상만 합니다.
와이번 11단을 돌지 못한다면 부옵이 아주 빵빵한 희귀까지만 타협해서 강화 하는게 좋습니다.
2. 주옵과 부옵의 증가치

장비 레벨에 따른 주옵과 부옵 증가량은 위와 같습니다.
0->15강이 될 시 주옵은 무려 5배로 뻥튀기가 됩니다. 특히 14->15강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.
부옵의 경우 3의 배수만큼 강화할 때 마다 한번씩 기회가 생깁니다.
부옵으로 깡옵이 붙은 것은 퍼옵에 비해 효율이 부족합니다. 따라서 앵간하면 %옵션이 붙은 것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. 하지만 깡옵의 효율이 19.9.5 패치로 좋아졌기 떄문에 자신이 원하는 깡옵이 잘 붙었다면 역시 나쁘지 않습니다.
3. 부옵은 언제 어떻게 붙는가?
위에서 정 장비가 부족하다면 희귀 장비라도 부옵이 빵빵하다느 조건 하에 강화해볼만 하다고 했습니다. 그 이유는, 희귀 강화의 경우엔 기존의 2개의 부옵에'만' 강화가 +3, +6에서 되기 때문입니다.
예를들어 희귀 장비의 부옵이 생명력 7% 방어력 7%인 상태에서 6강까지 강화하여 운이 좋다면 생명력 20% 방어력6%의 부옵을 지닐 수도 있습니다.
물론 전설등급 장비의 경우 기본 부옵이 4개로 시작하기 때문에 강화만 잘 된다면 희귀장비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좋아질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그만큼 구하기도 힘들고 부옵이 잘 붙기도 힘듭니다.
하지만 장비 강화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이 만만치 않으므로 되도록이면 영웅, 전설등급의 장비를 부옵을 봐 가면서 올리는게 좋습니다. 장비에 여유가 있다면 중간에 부옵이 망하면 과감히 갈아버려야 이롭습니다.
4. 장비의 주옵과 부옵은 어떤 옵션이 나오는가?

각각의 장비는 붙을 수 있는 주옵과 부옵이 정해져있습니다.
회색 글씨는 깡옵입니다. %옵션에 비해 효율이 낮습니다.
앞서 말했듯이 부옵이 깡옵이라고 해도 잘 붙으면 썩 나쁘진 않습니다.
하지만 주옵이 깡옵인 경우는 잘 따져봐야합니다. 극소수의 영웅만 %옵션보다 깡옵션이 더 효율이 좋습니다. (타마린느, 아이테르, 헤이즐의 경우 깡생명이 더 좋습니다. 그래서 깡옵이라도 부옵이 좋으면 몇 개 정도는 챙겨두는게 좋습니다.)
%옵션보다 깡옵이 좋은 영웅에 대해서는 다른 공략에서 따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.
붉은 글씨는 각각 신발/반지/목걸이에서만 주옵으로 붙는 경우입니다.
(막간 팁 : 희귀 이상의 무기,갑옷,투구,신발은 팔고, 일반과 고급 등급은 강화재료로 써야 효율적입니다. 악세사리는 등급 레벨 무관하게 나쁜 옵션이면 팔지 말고 강화재료로 쓰세요. 악세사리 강화석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런식으로라도 강화를 해야합니다.)
(막간 팁2 : 강화된 장비를 다시 재료로 사용하면 강화된 수치의 절반정도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강화하다가 부옵이 망했다면 재료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.)
5. 세트 효과
같은 세트효과를 가진 장비를 장착하면 추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그 효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. (제작에 관련해서는 토벌 공략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.)
(와이번 제작)
속도의 세트 (4세트) : 속도 25% 증가.
적중의 세트 (2세트) : 효과적중 20% 증가.
치명의 세트 (2세트) : 치명타 12% 증가.
(골렘 제작)
방어의 세트 (2세트) : 방어력 15% 증가.
체력의 세트 (2세트) : 최대 체력 15% 증가.
공격의 세트 (4세트) : 공격력 35% 증가.
(밴시 제작)
반격의 세트 (4세트) : 피격 시 20%의 확률로 반격.
흡혈의 세트 (4세트) : 공격 시 피해량의 20%만큼 생명력 회복.
파멸의 세트 (4세트) : 치명타 피해 40% 증가.
저항의 세트 (2세트) : 효과저항 20% 증가.
(아지마나크 제작)
분노의 세트 (4세트) : 약화 효과가 있는 대상에게 피해량 30% 증가.
면역의 세트 (2세트) : 전투 시작 시 1턴간 면역 발동.
협공의 세트 (2세트) : 협공 확률 4% 증가.
되도록 세트효과를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. 공짜로 저만큼의 부옵을 챙겨주는 것과 같은 이치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, 세트 효과를 포기하고 자신이 가진 부옵이 좋은 다른 장비를 장착해서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. 이럴 땐 너무 세트효과에 연연하지 말고 부옵이 좋은 쪽으로 장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.
6. 재련으로 오르는 수치
강화할 때 몇번 붙었냐에 따라 오르는 수치가 다릅니다.
(수치와 상관없이 횟수로)
속도
베이스 +0
1번 +1
2번 +2
3번 +3
4번 +4
5번 +4
공격력, 생명력, 방어력, 효적, 효저
베이스 +1%
1번 +3%
2번 +4%
3번 +5%
4번 +7%
5번 +8%
치명 확률
베이스 +1%
1번 +2%
2번 +3%
3번 +4%
4번 +5%
5번 +6%
치명 피해
베이스 +1%
1번 +2%
2번 +3%
3번 +4%
4번 +6%
5번 +7%
재련을 하면 장비의 성능이 크게 오르지만, 재련 비용이 상당하므로 효율적으로 재련하는 것이 좋습니다.
재련을 위해서는 가진 장비 중 최대한 좋은 장비를 하시는게 좋습니다.
어떤 장비가 좋은가? 어떻게 효율적으로 좋은 장비를 만드는가는 2편에서 설명하겠습니다.
붉은새님 중간에 장비 주옵/부옵 정리하신 표 다른 곳에 써도 되나요?
답글삭제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.
답글삭제